🧾 회계 기초 & 재무제표
자산? 부채? 자본? 회계 기초 용어 5분 컷 요약
도옹이
2025. 5. 8. 07:00
728x90
반응형
“자산이 뭐예요?”
“부채랑 자본은 어떻게 달라요?”
회계에서 자주 보지만 헷갈리는 단어,
오늘은 이 3가지를 5분 안에 싹 정리해드릴게요.
1. 회계란 ‘돈의 흐름’을 기록하는 언어입니다
회계는 한마디로 기업(또는 개인)의 돈 흐름을 숫자와 표로 기록하는 일입니다.
그 흐름을 나타내는 기본 공식이 바로 아래예요:
자산 = 부채 + 자본
이 공식을 중심으로 회계가 돌아갑니다.
그럼 하나씩 풀어볼게요.
2. 자산: 내가 가진 ‘돈’과 ‘돈이 될 것들’
자산 = 내가 소유한 것 중에서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것
예시 | 설명 |
통장에 있는 현금 | 은행에 맡겨둔 돈으로, 내가 마음대로 꺼내 쓸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자산입니다. |
아파트 | 지금은 내가 살고 있지만, 필요하면 팔아서 현금화할 수 있는 고정자산입니다. 시장에서의 가치가 있기 때문에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
핵심: 미래에 돈이 되거나 이미 내 통장에 있는 것 → 자산입니다.
3. 부채: ‘남의 돈’, 언젠가 갚아야 할 것
부채 = 빌린 돈, 아직 갚지 않은 돈
예시 | 설명 |
전세보증금 | 내가 세입자라면 이건 자산이지만, 집주인이라면 언젠가 세입자에게 돌려줘야 하는 돈이기 때문에 부채입니다. |
대출금 | 은행에서 빌린 돈으로, 향후 반드시 갚아야 하므로 명확한 부채입니다. 잔액이 많을수록 부채 비율이 높아집니다. |
친구한테 빌린 10만원 | 차용증이 없더라도, 돌려주기로 약속했다면 ‘채무’로 인정됩니다. 개인 재무제표에서도 이런 항목은 부채로 처리해요. |
핵심: 내가 가진 것 같지만 사실 ‘남의 돈’이에요.
4. 자본: 내 진짜 돈
자본 = 자산 - 부채
즉, 내가 가진 자산 중에서 부채 빼고 ‘진짜 내 몫’이에요.
예시 | 설명 |
아파트 5억원, 대출 3억원 | 아파트는 자산 5억원, 대출은 부채 3억원이므로 내 순수한 자본은 5억원 - 3억원 = 2억원입니다. 즉, 내 돈은 2억원뿐이라는 의미입니다. |
현금 1,000만원, 카드 빚 200만원 | 자산에서 부채를 뺀 800만원이 순자산입니다. 겉보기에 천만 원 있어 보여도, 실제론 800만원이 ‘온전히 내 돈’입니다. |
자본은 내 순자산, 즉 재산의 ‘순수한 내 몫’이에요.
5. 이 3개를 정리하면?
개념 | 설명 | 키워드 |
자산 | 내가 가진 모든 가치 있는 것 | 소유, 보유, 통장, 부동산 |
부채 | 갚아야 할 돈 | 빚, 대출, 의무 |
자본 | 부채 뺀 나의 몫 | 순자산, 내 돈 |
그리고 다시 이 공식이 딱 떠오르죠:
자산 = 부채 + 자본
(내가 가진 것 = 남의 돈 + 내 돈)
마무리하며
회계는 결국 ‘내가 가진 것’과 ‘갚아야 할 것’을 구분하는 도구입니다.
이 세 가지 용어만 정확히 이해해도
재무제표든 가계부든, 그 흐름을 꿰뚫어 볼 수 있어요.
다음 글에서는 이 3가지를 실제 기업 사례나 개인 재무제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도 알려드릴게요.
오늘은 여기까지 5분 컷 정리 완료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