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투자 입문 & ETF 16

적금 깨고 투자해도 될까요? 지금 결정하기 전, 꼭 생각할 3가지

요즘 은행 적금 금리도 조금 오르고,주식이나 ETF도 다시 관심 받는 분위기죠.이럴 때 한 번쯤 이런 생각이 떠오릅니다. “나, 지금 적금 깨고 투자해볼까?”“이 돈, 가만히 두기 아까운 것 같아…” 하지만 무작정 적금을 해지하고 투자로 옮기기엔잃을 수도 있는 게 꽤 많아요.오늘은 적금 해지를 고민 중인 분들이꼭 생각해봐야 할 3가지 포인트를 짚어드릴게요.1. 적금은 단순한 이자보다 ‘목표를 지켜주는 도구’입니다 적금의 가장 큰 장점은 강제성입니다.매달 빠져나가는 자동이체,중간에 손대기 어려운 구조가 ‘목돈 만들기’에 효과적이죠. 단순히 연 3%의 이자를 받는 게 목적이 아니라,여행 자금결혼 준비전세 보증금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위해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로 전환했다가 원금 손실이 나면,목표 자체가..

연금저축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손해일까?

연금저축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분들,혹은 오래 납입했지만 당장 급하게 돈이 필요한 분들.이런 상황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문이 있어요. “연금저축, 해지해도 괜찮을까?”“세금 돌려받은 거 다 뱉어내야 하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세액공제를 받은 경우라면 해지 시 손해를 각오하셔야 합니다.왜 그런지, 어떤 대안이 있는지 지금부터 정리해볼게요.1. 연금저축 해지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연금저축은 단순한 저축 상품이 아니에요.‘세금 혜택을 받는 대신, 노후까지 유지하겠다’는 약속이 깔려 있죠. 따라서 55세 이전에 해지하거나,연금 형태가 아닌 일시금으로 받으면국세청이 이렇게 말합니다: “그동안 돌려준 세금 다시 내놔.” 즉, 해지 시에는세액공제로 받은 금액 + 운용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16.5%)..

연금저축과 IRP, 뭐가 다르고 어떻게 고를까요?

"연말정산 받을 수 있다는데... 연금저축이랑 IRP 중에 뭐가 좋을까?"처음 이 말을 들었을 땐, 저축 종류 얘기인 줄 알았어요.그런데 알아보니 절세, 노후 준비, 투자까지…생각보다 훨씬 많은 걸 포함하는 개념이더라고요. 오늘은 헷갈리는 두 친구,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의 차이와 선택법을알기 쉽게 정리해볼게요.1. 연금저축과 IRP, 공통점부터 짚어볼게요 두 상품 모두 연간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쉽게 말하면, 지금 세금을 덜 내고나중에 노후자금으로 돌려받는 구조죠. 구분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 한도 400만 원 700만 원 (연금저축 포함 기준) 세액공제율..

레버리지 ETF, 해도 될까요?

요즘 TQQQ, SOXL, SPXL 같은 ETF 종목 이름,한 번쯤 들어보신 적 있으실 거예요.3배 수익을 낼 수도 있다는 말에 솔깃해지지만,과연 레버리지 ETF, 진짜 해도 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레버리지 ETF가 무엇인지투자 전에 꼭 알아야 할 점은 무엇인지함께 알아보겠습니다.1. 레버리지 ETF란? 일반 ETF는 기초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상품입니다.예: QQQ → 나스닥100 지수에 그대로 연동 반면 레버리지 ETF는기초지수의 2배, 3배 수익률을 추구합니다.QQQ 오르면 TQQQ는 3배 상승SOX 상승 시 SOXL도 3배 상승단기적으로 급등하면 수익률이 확 커지지만,하락 시엔 손실도 그만큼 빠르고 깊습니다.2. 수익이 3배면 좋은 거 아냐? 단기 상승장에서 수익률은 정말 매력적입니다.예를 들..

HDV, 안정적인 배당 ETF로 괜찮을까?

“고배당 ETF에 투자하고 싶은데, 너무 변동성 큰 건 좀 부담돼요.” 그럴 때 한 번쯤 들어보게 되는 ETF가 있습니다.바로 HDV (iShares Select Dividend ETF)입니다.‘고배당 + 안정성’을 추구하는 ETF로,은퇴 준비자, 장기 투자자, 방어형 성향의 투자자에게 인기 있는 종목이죠. 오늘은 HDV가 어떤 ETF인지,어떤 투자자에게 잘 맞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HDV란 무엇인가요? HDV는 미국 iShares(BlackRock)에서 운용하는 고배당 중심 ETF입니다.재무적으로 건전하면서도 안정적인 배당을 지급하는 미국 대형주를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요. 항목 내용 종목 수 약 75개 내외 ..

SCHD, 배당도 성장도 잡은 ETF일까?

“고배당 ETF를 고르고 싶은데, 수익률도 어느 정도 챙기고 싶어요.”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신 적 있지 않나요? 고배당 ETF는 대부분 배당은 많이 주지만, 주가 성장률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그런데 요즘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는 ETF가 하나 있습니다.바로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입니다. 오늘은 SCHD가 어떤 ETF인지, 어떤 투자자에게 잘 맞는지배당과 성장을 모두 노리는 ETF로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SCHD란 무엇인가요? SCHD는 미국 샤브(Charles Schwab)에서 만든 고배당 ETF입니다.미국 대형주 중 재무 건전성과 배당 이력이 우수한 기업들을 모아서 구성되어 있어요. 항목 내용..

배당 ETF vs 성장 ETF, 뭐가 더 나을까?

ETF에 처음 발을 들이면 다음 고민이 찾아옵니다.“배당을 주는 ETF가 좋을까? 아니면 성장형 ETF가 더 나을까?”둘 다 장점이 있어 보이고, 유튜브나 블로그마다 추천하는 방식도 달라 혼란스럽습니다.오늘은 이 두 ETF의 차이점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나에게 맞는 ETF를 어떻게 고르면 좋을지 알려드릴게요.배당 ETF란 무엇인가요? 배당 ETF는 보유하고 있는 주식에서 나오는 배당금을 정기적으로 투자자에게 분배해주는 ETF입니다.예를 들어 미국의 VYM, SCHD, HDV 같은 ETF가 여기에 해당하죠.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현금 흐름 창출: 배당금을 분기별 또는 반기별로 받을 수 있어요방어적인 투자 성향: 고배당주는 일반적으로 경기 불황에 강한 편입니다단점: 배당수익률은 높지만, 성장 속도는 상대적으..

물가상승 시대, 현금가치가 떨어지는 이유와 대처법

월급이 들어오면 우리는 뿌듯한 마음에 통장을 확인합니다.하지만 이상하게도, 예전보다 돈이 더 빨리 사라지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같은 편의점 도시락인데도 가격이 올랐고, 카페 라떼 한 잔도 이제는 5,000원을 훌쩍 넘기기 일쑤입니다.그 이유는 바로 ‘물가 상승’, 즉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그리고 이 인플레이션은 우리가 가진 ‘현금의 가치’를 조용히 갉아먹고 있습니다.현금은 가만히 있는 동안에도 ‘손해’를 봅니다 은행에 100만원을 넣어두면, 당장은 손해가 아니라고 느낍니다.하지만 1년 뒤에도 그 돈으로 똑같은 물건을 살 수 있을까요? 만약 연간 물가상승률이 4%라면, 1년 뒤 100만원은 실질적으로 96만원의 구매력만 갖게 됩니다.즉, 아무것도 하지 않았지만 4만원만큼 가난해진 셈입니다.이런 상황..

샤프비율? 칼마비율? 수익률만큼 중요한 투자 지표들

ETF 비교하다 보면 이런 단어들, 본 적 있으시죠? 샤프비율, 칼마비율, 소르티노비율… 처음엔 이름부터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지만, 알고 보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수익률'보다 훨씬 중요한 정보입니다. 왜 그럴까요?이번 글에서는 투자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요 투자 지표 세 가지를 간단하게 풀어보겠습니다.1. 샤프비율: 수익률보다 중요한 건 '안정성' 샤프비율(Sharpe Ratio)은 ‘리스크 대비 수익률’을 보여주는 대표 지표입니다. 같은 수익률이라도 얼마나 덜 흔들리고 안정적으로 벌었는지가 중요하다는 의미죠.공식: (기대수익률 – 무위험수익률) ÷ 표준편차(변동성)쉽게 말하면: "얼마나 출렁이지 않고 수익을 냈는가"예를 들어 A와 B라는 ETF가 둘 다 연 10%의 수익을 냈다고 해도,..

ARKK: 혁신에 올인하는 미래 투자 ETF, 장단점은?

1. ETF 개요와 기본 정보 ARK Innovation ETF(ARKK)는 Cathie Wood가 이끄는 ARK Invest의 대표 액티브 ETF입니다.설정일은 2014년 10월 31일이고, 현재 운용자산(AUM)은 약 60억 달러, 35~55개 종목에 고르게 분산 투자 중입니다 ARKK의 액티브 비율(active share)은 S&P 500 기준으로 약 96%, 즉 벤치마크와 거의 다른 구성입니다 .2. 종목 구성 & 투자 테마 투자 테마는 AI, 유전자 치료, 로보틱스, 블록체인, 핀테크 등 5대 혁신 산업에 집중됩니다 3. 수익률 vs 리스크: S&P 500과 비교 10년 연평균 수익률: ARKK 12.2% vs SPY 13.0% 5년 수익률: ARKK –0.85%, SPY +15.1% Y..

728x90
반응형